부동산5 부동산 갈아타기는 언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갈아타기란 단순히 부동산을 사서 집을 이동하는 것과는 다르다. 집을 갈아탄다는 의미는 지금 살고 있는 동네보다 직주근접이 우수하거나 학군이 좋은 동네, 즉 급지가 높은 동네로 이동하는 걸 얘기한다. 급지란 1 급지, 2 급지, 3 급지 이런 식으로 가격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가격이 비슷한 동네를 묶어놓은 부동산 계층 서열을 이야기한다. 갈아타기는 왜 해야 하는가 부동산은 천장이라는 개념이 있다. 천장이라는 개념을 쉽게 얘기하면 동네의 서열이다. 하위 급지의 동네는 아무리 올라도 상위 급지의 동네보다는 못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남 미사의 천장은 고덕동이고, 개포의 천장은 대치동이다. 일시적으로 하위 급지에 신축이 들어와서 상위 급지보다 가격이 비싸질 수는 있어도 대지 위의 건물은 모두 시간이 지나면 낡.. 2022. 2. 10. 상승장에 더 오르고 하락장에 덜 내리는 아파트 고르기 모든 자산이 그렇듯 상대적으로 좋은 물건을 취득하고 있으면 상승장에서 더 오르고 하락장에서는 덜 내리기 때문에 우량 자산을 선택하는 것은 투자를 함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좋은 아파트를 고르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을 살펴보아야 할까? 좋은 아파트 고르기 1. 순인구 이동 확인 주거 목적이 큰 아파트의 특성상 인구가 늘고 있는 곳이 수요가 많을 수밖에 없다. 공급이 동일하다면 인구 유입이 많은 곳에 자연스럽게 높은 가격이 형성될 것이며 실수요자들로 인해 전세 가격도 단단하게 받쳐 줄 것이다. 순인구 이동은 '호갱노노' 사이트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2. 공급물량 확인 위에서 설명한 순인구 이동은 수요와 관련이 있었다면 실질적인 아파트 공급에 대한 부분도 살펴보아야.. 2022. 1. 24. 재테크의 기본단계 종잣돈 모으기 재테크에서 가장 기본단계이자 가장 지루하고 힘든 단계가 바로 종잣돈 모으기이다. 종잣돈 모으기는 의외로 간단한데 많은 분들이 못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의식 중에 돈을 모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산다. 왜 그럴까? 바로 불안감 때문이다. 특히 한국사회는 불안으로 돌아간다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돈을 반드시 모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 주위를 조금만 둘러보면 적금을 넣고 주식을 하면서 돈을 굴리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이런 행동을 하면서 아무런 목표가 없고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당장 돈을 언제까지 얼마나 모아야 하는지, 어떻게 모을 것인지, 그리고 돈을 모아서 무엇을 살 것인지에 대한 아무런 계획이 없다. 하지만 우리가 종잣돈을 모으고 싶다면 계획 .. 2022. 1. 3. 부동산 재테크 Flow 1 주택을 마련했다고 해서 우리의 투자는 끝난 것이 아니다. 투자는 평생 해야 하는 것이고 오히려 1 주택 마련 후의 투자가 인생에서 훨씬 중요한 터닝 포인트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1 주택 마련 후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먼저 우리는 내가 최종적으로 어디에 살 것인가를 정해야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어디에 살 것인가는 크게 두 가지를 보고 정한다. 나의 수입 : 내가 한달에 얼마를 버는지, 그 수입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그래야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나의 나이 : 사람의 은퇴는 일부 죽을 때까지 해 먹을 수 있는 직업을 제외하면 대부분 비슷할 수밖에 없다. 대략 60살까지 경제활동을 한다고 가정하고 계획을 짠다면 '시드머.. 2021. 12.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