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토큰(STEEM)은 블록체인 SNS 플랫폼인 '스팀잇(Steemit)'에서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된다. 스팀잇에서는 콘텐츠 저자와 큐레이터가 자신의 활동에 따라 스팀을 분배받는다. 스팀은 예치의 용도로 사용되는데, 스팀을 예치할 시 스팀 파워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콘텐츠 평가 및 큐레이팅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낸다. 스팀은 스팀 달러로 교환하여 가치 안정성을 추구할 수도 있다.

개요 및 특징
스팀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네트워크보다 초당 훨씬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수수료가 없다. 따라서 스팀은 자신의 콘텐츠를 수익화하고 커뮤니티를 확장하는데 도움이 되며 위임 지분 증명(DPoS)과 두뇌 증명(PoB)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따른다.
위임 지분 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 방식이란 각 라운드마다 블록 생산을 하고 매 라운드마다 21명의 증인이 트랜잭션 블록에 서명하고 블록 생산을 위해 선출된다. 이 증인들 중 20명은 승인 투표에 의해 선출되고 나머지 1명은 전체 투표수에 비례하여 상위 20위 안에 들지 않은 모든 증인들에 의해 타임셰어 된다. 이 규칙에 따라 스팀잇에서는 20명의 증인을 스팀 사용자들이 선겨를 통해 선발하고, 이는 스팀잇에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3초마다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두뇌 증명(Proof of Brain) 방식이란 암호화폐의 발행을 채굴자나 지분 소유자에게 맡기지 않고 지적 두뇌 활동을 통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용자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참여자들에게 맡기는 합의 알고리즘을 말한다. 작업 증명 방식의 비트코인이 100% 채굴기를 통해 운영되고, 지분 증명 방식의 큐텀은 100% 보유지분을 통해 운영된다면 스팀잇은 최초의 사람 중심 토큰 이코노미라고 할 수 있다.

스팀잇은 기존 SNS 플랫폼과는 달리 '콘텐츠 기반 보상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가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게시된 글에 추천을 했을 시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주어진다.
스팀잇에는 스팀, 스팀 파워, 스팀 달러 3가지의 암호화폐가 있다.
- 스팀 : 스팀잇의 대표 암호화폐로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송금과 거래가 가능하다. 콘텐츠가 블록체인에 저장되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받은 만큼 스팀을 받는다. 보상금은 게시물이나 댓글을 작성한 후 7일 후에 지급하고 지급받은 스팀의 절반은 즉시 사용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절반은 베스팅 스팀으로 저장되어 스팀 파워를 통해 104주 동안 파워 다운을 시킨 후 사용 가능하다.
- 스팀 파워 : 스팀 파워는 스팀잇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스팀 파워가 높아질수록 보팅(Voting) 파워가 강해지게 된다. 스팀 파워는 거래나 전송이 불가능한 형태로 묶이게 되며 다시 스팀으로 전환 시 4주의 시간이 걸리고 스팀 파워로 묶인 스팀에 대해서 소정의 이자도 지급된다.
- 스팀 달러 : 스팀잇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지급하는 스테이블 코인이다. 스팀 달러는 미국 1달러의 가치가 보장되도록 설계되어 가격이 안정적이며 스팀으로 환전이 가능하다. 또 자유롭게 송금과 거래를 할 수 있어 현금화도 가능하다. 스팀 달러를 통해 스팀의 급격한 가격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전망
스팀잇은 기존의 SNS와 달리 콘텐츠 기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 SNS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무런 물질적 혜택을 받지 못한다. 반면 블록체인 기반 SNS는 합리적인 보상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글을 쓰거나 '좋아요'를 눌러도 돈을 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스팀잇은 기존 SNS를 혁신한 참여자 보상형 사업 모델이다.
사물인터넷(IoT)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온라인에 접속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콘텐츠 사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음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 시장 또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스팀잇은 향후 콘텐츠 제작과 큐레이팅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을 바탕으로 더욱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공부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중앙 금융 프로토콜의 선두 주자 에이브(AAVE) 펀더멘탈 분석 (0) | 2022.02.15 |
---|---|
국제 송금용 암호화폐 스텔라루멘(XLM) 펀더멘탈 분석 (0) | 2022.02.12 |
파일 공유를 위한 암호화폐 비트토렌트(BTT) 펀더멘탈 분석 (0) | 2022.02.06 |
저장성 대장 코인 파일 코인(FIL) 펀더멘탈 분석 (0) | 2022.02.02 |
탈중앙화 거래소 플랫폼 제로엑스 코인(ZRX) 펀더멘탈 분석 (0) | 2022.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