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대가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가 말하기를 주식에서 딱 4가지만 보면 우리가 찾는 완벽한 주식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이 4가지는 바로 기업, 해자, 경영진 그리고 가격이다.

찰리 멍거 인터뷰 내용
"일단 먼저 내가 이해할 수 있는 기업이어야 한다. 이 조건이 충족되면 다음 조건은 누구나 넘볼 수 없는 강한 경쟁력을 지닌 회사여야 한다. 그다음 세 번째는 정직하고 유능한 경영진이 있는 게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훌륭한 기업이라도 터무니없는 가격에 살 수 없다. 그렇게 때문에 어떠한 변수에도 대비할 수 있는 안전 마진이 있는 적정한 가격에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굉장히 쉽고 단순한 개념이다. 근데 이렇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너무 단순해서이다. 학교에서 이런 단순한 걸 가르치면서 비싼 돈을 받을 수가 없다."
1. 내가 잘 이해하는 기업
같은 기업을 보고도 내가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서 그 기업에 대한 미래 전망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영화관에서 일하는 직원이라면 영화를 보러 오는 사람들을 매일 보기 때문에 어떤 영화를 사람들이 많이 보러 오는지, 앞으로 어떤 영화들이 출시 예정인지, 영화를 보고 나오는 사람들의 표정이 어떤지 등을 보고 다른 사람들은 영화 관련 주식의 미래가 어둡다고 생각해도 나는 오히려 미래가 밝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화관 사업에 대해 잘 알기 때문에 영화 관련 기업들이 어떻게 돈을 버는지, 어떻게 해야 사람들이 영화를 더 많이 보러 오는지 등에 대한 부분들을 다른 사람보다 더 잘 이해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내가 잘 이해하는 기업에 투자해야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유리하고 앞서 나갈 수 있다. 때문에 객관적으로 나를 돌아봤을 때 다른 평범한 일반인들보다 특별히 이 기업에 대해서 더 잘 아는 부분이 없으면 그 기업에는 투자를 하면 안 되는 것이다.
2. 넘볼 수 없는 경쟁력
다른 경쟁자들이 쉽게 넘볼 수 없는 경쟁력, 비슷하게 경쟁자들이 따라오더라도 내가 이길 수밖에 없는 필승 전략을 가진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 워런 버핏은 이 경쟁력을 경제적 해자라고 많이 표현한다. 해자는 성벽을 둘러싸고 있는 물인데 이 해자가 넓을수록 경쟁력이 강하다는 뜻이고 다른 경쟁자들이 쉽게 넘어와서 이 성을 무너뜨릴 수 없다.
코카콜라를 생각해보면 코카콜라 좋아하는 사람들은 피자 먹을 때 다른 음료수는 절대 찾지 않는다. 코카콜라와 비슷한 펩시 콜라가 있더라도 반드시 코카콜라만 찾는다. 소비자들의 이러한 충성심이 코카콜라한테는 엄청난 경쟁력이 된다.

3. 정직하고 유능한 경영진
주식을 처음 하는 사람들이 많이 간과할 수 있는 부분인데 경영진이 정직해야 회사에 문제가 생겼을 때 솔직하게 주주들에게 말해주고 회사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기업에는 믿고 투자할 수 있는 것이다.
경영진은 마치 축구팀에서 감독 같은 역할이다. 경기를 하기 전 상대팀의 전력 분석과 더불어 우리 팀의 강점과 약점을 알고 반드시 이길 수 있는 필승 전략을 짜는 것이 경영진의 역할이다. 우리 팀의 약점을 보완할 것인지, 아니면 강점을 더 살릴 것인지와 같은 경영진의 전략과 선택으로 기업의 성공이 좌지우지된다.
코스트코의 창업자이자 CEO인 '짐 세네갈'이 핫도그 가격을 몇십 년 동안 안 올리고 그대로 뒀다. 이렇게 경영진이 낮은 가격에 고객들을 대접한다는 핵심 철학에 지독하리만큼 집착을 했기 때문에 코스트코는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4. 적정한 가격
찰리 멍거는 어떠한 주식도 무한대의 가격만큼의 가치는 없다고 말했다. 모든 주식에는 적정 가격이 있고 기왕이면 싸게 사는 게 최고다. 고점일 때보다는 저점에 사는 게 좋기 때문에 하락장에서 좋은 주식을 건질 수 있는 기회들이 많이 나온다. 이렇게 좋은 기업을 적정가에 사기 위해서 많은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안전마진인데 안전마진이란 주식에 대한 자신의 예측이 틀릴 것을 대비하여 자신이 생각한 적정가보다 더 싼 가격에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일종의 보험을 드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주식으로 돈을 잃을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

<출처 : YouTube 타민더마켓>
'경제공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해외 ETF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 | 2022.12.08 |
---|---|
투자에도 순서가 있다 (1) | 2022.10.05 |
종잣돈 4,000만 원을 4,000배 불린 5가지 방법 (1) | 2022.09.30 |
주린이를 위한 기초 주식 용어 정리 (2) | 2022.09.24 |
1억으로 1년 10개월 만에 156억을 만든 투자자의 투자처 선택 기준 (0) | 2022.09.16 |
댓글